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 조회 수 3237 추천 수 82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브라질에서 흑인 등 소수 인종에게  대학 입학이나 취직에서 특례 규정을 두는 이른바 ''소수계 우대제도(Affirmative Action)''가 일부 지역에 첫 도입됐다. 그러나 이를 계기로 그 동안 수면에 잠겨 있던 인종차별 문제와 이를 둘러싼 논란이 새 쟁점으로 부각하고 있다.
    --강경파 노조위원장 출신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 대통령이 추진하는 인종평등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면 문제는 훨씬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법안은 각급 정부와 심지어 TV 프로그램, 광고 캐스팅에서도 인종에 따라 정해진 쿼터를 의무적으로 적용토록 한다.
    --지난 5월 브라질 사상 최초로 흑인 출신 인사를 대법원 판사에 전격 임명한  룰라 대통령은 향후 5년내 연방정부 공무원의 3분의 1을 흑인으로 채울 것이라고 약속한 바 있다.
    --이 논쟁의 `그라운드 제로''는 브라질내 규모나 전통 등 여러 면에서 명문  대학으로 꼽히는 리우 데 자네이루 주립대학이다. 리우 대학은 지난해 통과된 주(州) 법 규정에 따라 올 5월 신입생 입학사정부터 흑인에 대한 특례 규정을 처음으로 적용했기 때문이다.
    --새롭게 마련된 특례 규정은 신입생 전체 비율에서 흑인이 최소한 40% 이상이 돼야 하고, 빈민층이 주로 공부를 하는 공립 고등학교 출신이 신입생의 절반을 차지해여 한다고 하고 있다.
    --이 제도에 대한 반응은 즉각 나왔다. 리우 대학이 이 같이 인종에 따른 입학 쿼터제를 적용한 데 반발해 대학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학생은 거의 300명에 달한다. 이들은 자신들이 객관적인 성적으로 볼 때 입학이 허가된 다른 흑인보다 우수한  데 인종에 따른 쿼터제로 입학 불가를 받은 것은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특히 혼혈이 상당수 비율을 차지하는 브라질에서 이른바 흑인과 백인을  나누는 객관적 기준이 무엇이냐는 문제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에  소송을  제기한 학생은 "내 할머니는 흑인이지만 입학 서류에 흑인이라고 표기하지 않았다"면서 "브라질 같은 나라에서 모든 사람의 피는 모두 섞여 있기 때문에 흑인, 백인을  일률적으로 나누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브라질 현실에서 쿼터제 의무화가 사회 형평성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입장도 만만치 않다. 똑같은 분야에서 일하더라도 백인이 흑인보다 57%나  수입이  더 많고, 나아가 고등학교 졸업의 백인이 대학 졸업의 흑인보다 높은 월급을 받기 때문이다. 매년 브라질에서 대학에 입학하는 140만명 중 단지 3%만이 흑인 혹은  혼혈이다. 대부분의 흑인들이 공부하는 공립 고등학교 출신 신입생은 18%에 불과하다.
    --이번 쿼터제 규정에 따라 입학이 된 학생은 "흑인과 백인을 나누는 것이 불가능하다고들 하지만 실제와는 다르다"면서 "경찰한테 물어보라. 확실히 말하지만  그들은 누가 흑인인지 구별할 것이다. 단적인 예로 가정부의 피부 색깔은 무엇이냐.  흑인, 백인을 구별하는 문제를 놓고 많은 시간을 허비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인종차별 문제점을 공개적으로 비판해온 흑인 출신의 유명 가수 엘자  소아레스는 "우리는 모든 수준의 학교에서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직업을  필요로 하고 아이들이 하루 세끼의 식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소수계  특례 규정 마련의 필요성을 옹호했다.
    --쿼터제 규정을 놓고 백인 등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지적과 함께 일부에서는 능력을 갖춘 흑인들에게는 다른 형태의 차별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쿼터제 없이도 리우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던 흑인 출신 다를리  콩칼베스(23)는  "내가 흑인이라는 이유로 나의 정당한 성적을 인정받을 수 없다"면서 "쿼터제는 다른 형태의 역(逆) 인종차별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남미내 유일한 포르투갈 식민지였던 브라질은 1888년 서반구에서는  마지막으로 노예제도를 폐지했다. 이후 브라질에서는 혼혈 문제를 두고 특별한 문제점이 지적되거나 시급히 인종별 구분을 둬야 한다는 논의는 거의 없었다.
    --이에 따라 인구 조사에서는 피부 색깔에 따라 100여 인종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한 분류는 `밀크 커피색''이다. 가장 검은 피부 색깔의 분류인  `블랙''은  현재 단지 6%로 공식 통계에 잡혀있다. 그러나 브라질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가  자신에 대해 흑인 혹은 혼혈을 가리키는 말인 `파르두''로 여기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 FIFA, 브라질 축구 협회장 집행위원 자격 박탈 ajutour 437 2015.10.20
    40 EU-브라질, 도하협상 진전 놓고 설전 Webmaster 2366 2006.03.24
    39 BRASIL 빠울리스따 버스정류장 Hi-Tech 접목된 시설 ajutour 923 2013.12.03
    38 7대 불가사의, 새롭게 추가된 브라질 거대예수상…'어떻게 선정됐나? file ajutour 913 2015.05.20
    37 20대 마약중독 청년, 마약생활 청산하고 과거 빚 갚아 ajutour 1493 2011.04.14
    36 2020년 브라질 카나발 축제 들썩, 코로나 바이러스 없다 ajutour 225 2020.02.20
    35 2018년 브라질 대선 우파 후보 압승…15년만에 정권교체 ajutour 613 2018.10.29
    34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전후 대량실업 사태 우려 ajutour 597 2016.01.19
    33 2016년 리오 올림픽 입장권 인터넷 판매 시작 file ajutour 574 2015.02.06
    32 2016 올림픽 개최지 리우, 치안불안에 경찰서도 `휴업' file ajutour 652 2015.05.07
    31 2016 리우 올림픽 앞두고 시범경기 일정 확정 ajutour 568 2015.03.27
    30 2014년 자체개발 군사용 무인기 가동 ajutour 811 2013.08.05
    29 2014년 인공위성 발사 ajutour 1236 2012.04.05
    28 2014년 월드컵이 브라질에서 개최된다. 아주여행사 3234 2003.04.24
    27 2014년 브라질에 차세대 에타놀 연료 선 보인다고... ajutour 788 2013.12.03
    26 2014년 브라질, 월드컵 개최 준비 '비상'...노동자 파업 ajutour 1415 2011.09.02
    25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본선 개최 12개 도시 확정 ajutour 2128 2009.06.02
    24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조추첨 확정 ajutour 889 2013.12.06
    23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재대로 열릴까 ajutour 766 2013.11.07
    22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본선 개최도시 확정 ajutour 1524 2011.04.11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Next
    /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