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 조회 수 4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사의 0번째 이미지
    "저는 여전히 목표지향적인 기업가입니다. 상파울루를 기업 운영하듯 효율적으로 이끌 것입니다. 이를 위해 서울이 수십 년 동안 발전시켜 온 훌륭한 대중교통 시스템과 교육개발 프로그램을 적극 벤치마킹할 계획입니다." 

    지난 13일 서울 중구 을지로 센터원빌딩에서 매일경제와 만난 주앙 도리아 상파울루 시장(60)은 이같이 밝혔다.
     
    한국 땅을 처음 밟은 도리아 시장은 "한국의 교육시스템, 기술혁신, 공공보건 등에 대해 익히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기회를 통해 서울시의 성공적인 정책 사례를 직접 눈으로 보고 이를 상파울루 도시 개발에 도입할 계획이다. 

    도리아 시장은 지난해 10월 브라질 지방선거에서 '나는 정치인이 아니다. 나는 사업가다'라는 슬로건을 걸고 상파울루 시민들의 표심을 끌어모아 대승을 거둔 인물이다. 정치인들의 잦은 부패 스캔들에 지쳐 새로운 바람을 기대했던 시민들에게 도리아 시장은 '기다리던' 지도자였다. 그는 기업가 출신의 정치인이라는 배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TV 쇼 '어프랜티스' 브라질판에서 진행자를 맡아 '브라질의 트럼프'로 불리기도 한다. 

    투명한 시정 운영을 통해 상파울루의 빈부격차를 해결하겠다고 했던 그는 "취임한 지 100일밖에 안 됐지만 상파울루 시민들의 호응이 대단하다"고 자부했다. 

    도리아 시장은 "임기 동안 교육, 보건, 치안, 거주환경, 대중교통 시스템 등 5가지 분야에 주력하겠다"며 "서울은 이 분야에 모두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서울의 대중교통 시스템에 큰 관심을 보였다.

    상파울루는 브라질과 남미뿐만 아니라 남반구 전체를 통틀어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도시이자 경제의 중심지다. 이런 명성에도 불구하고 상파울루가 골머리를 앓는 문제가 있다. 바로 심각한 교통체증이다. 장기 불황으로 기반시설 확충이 늦어져 상파울루의 오래된 도로는 자동차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 지 오래다. 이 때문에 상파울루의 교통체증은 '지옥체증'으로 불리며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도리아 시장이 주목하는 것은 서울이 상파울루처럼 한국 최대의 경제중심지이자 인구밀도가 매우 높지만 대중교통이 빠른 속도로 도시의 혈맥 역할을 하는 점이다. 도리아 시장은 "대중교통을 전자카드로 지불하는 것도 매우 흥미로웠다"며 "교통비 지불을 위해 사용하는 전자카드를 영화관 등 편의시설에서 똑같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고 말했다.
    도리아 시장은 올해 상반기에 상파울루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는 "서울의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방안을 이때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질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과도 좀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상파울루시가 대중교통 시스템을 발전시키고 공공보건 분야를 개선하는 데 한국 기업들이 많이 투자해 줬으면 좋겠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01 그린 피스 "아마존 가뭄은 삼림파괴가 원인 Webmaster 2652 2005.10.20
    600 브라질 축구선수 호나우두 발목 부상 Webmaster 2796 2005.10.20
    599 브라질 교도소 폭동…3명 사망 Webmaster 2789 2005.10.20
    598 땅 싸움으로 가족 복수극 Webmaster 2600 2005.10.20
    597 2006년 리우데 자네이루 카나발 Webmaster 3178 2005.11.14
    596 브라질, 빈곤퇴치기금 위한 ''2달러 항공세'' 도입 Webmaster 2646 2006.03.03
    595 브라질 리우市는 지금 계엄 상황 Webmaster 2550 2006.03.08
    594 브라질, 조류독감 확산 대비 국경지역 통제 시작 Webmaster 2663 2006.03.16
    593 폴크스바겐, 브라질 생산분 100% 플렉스 차량 전환 Webmaster 2647 2006.03.24
    592 EU-브라질, 도하협상 진전 놓고 설전 Webmaster 2366 2006.03.24
    591 브라질 "폰테스는 우주관광객이 아니다" Webmaster 2442 2006.04.01
    590 브라질 아마존 사유화 잘될까 Webmaster 2338 2006.04.05
    589 브라질 2014년 월드컵 개최하고 싶다. Webmaster 2460 2006.04.07
    588 브라질 9살짜리임신 ? 출처 : 연합뉴스 Webmaster 2435 2006.04.07
    587 브라질 경제성장 Webmaster 2361 2006.04.10
    586 브라질 바릭항공(Varig) 파산보호 신청 Webmaster 2481 2006.04.17
    585 인디오 부족들의 역사 Webmaster 2336 2006.04.18
    584 브라질 문화 Webmaster 2447 2006.04.18
    583 대통령 권한대행 Webmaster 2344 2006.04.25
    582 억울한 브라질 철강기업 Webmaster 2488 2006.04.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37 Next
    / 37